-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University Textbooks for the Childcare Practi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서연 김진욱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63~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육실습’ 대학교재를 분석하여 예비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대학교재 집필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보육교사 자격기준이 개정된 2016년 8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출간된 보육실습 대학교재 총 19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교재는 분류체계분석의 방법으로 대학교재의 대주제별, 소주제별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재 교육과정의 철학이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실습 대학교재의 대주제별 내용은 ‘보육실습 준비’, ‘보육실습을 위한 기초 내용’, ‘보육실습 실시(6주)’, ‘보육실습 평가’, ‘보육실습 사후관리’, ‘기타’로 나타났으며, ‘보육실습 실시(6주)’의 내용을 제외한 5가지 대주제별 내용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었다. 둘째, 소주제별 내용에서는 각 교재의 내용 비중이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전과 후의 내용 빈도가 변화하였다. 특히,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놀이, 놀이 지원, 관찰의 내용 등이 증가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실습 교과목의 대학교재 집필의 방향성 제시에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ldcare practice’ university textbooks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writing university textbooks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19 books of childcare practice university textbooks published from August 2016 to February 2023, when the qualification standards for childcare teachers were revised,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textbooks were analyzed by subject matter and sub-subject of university textbooks by compared using a taxonomic system analysis.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see if the philosophy of the current curriculum was reflected. The analysis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using the Excel program.
Results First, the contents of childcare practice university textbooks were “preparation for childcare practice,” “basic contents for childcare practic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practice (6 weeks), ”evaluation of childcare practice,” “follow-up management of childcare practice,” and “other.” Second, in the content of each textbook,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 of each textbook was very different. Third, the frequency of content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play, play support, and observation emphasized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creased.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the basic foundation was laid for presenting the direction of writing university textbooks for childcare practice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