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봉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19~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D, G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영⋅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85명에게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어머니 양육태도,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평균 및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수준과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과의존은 부적상관, 애정적 양육태도와 애착안정성은 정적 상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애착안정성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애착안정성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스마트폰의 과다한 사용이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어 유아의 안정적 애착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과의존을 고려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5 parents of children's in D city and G city who were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we conducted analyses including mea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use and use of mothers and children's was confirmed. Seco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re negatively correlate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attachment stabil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ttachment stab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nd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were significant for the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ren's,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s a way to support the stable attachment stability of childre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