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 Relationship Improvement in Adolescents with Selective Mut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혜경 최선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977~9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선택적 함묵증 청소년에게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기표현 및 관계 변화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DSM-5의 진단기준 5개 항목에 모두 포함되는 선택적 함묵증인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총 19회기이며, 연구대상자는 주 1회 45분 실시하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검사와 상담을 병행한 회기와 아버지 면접상담 각 1회기는 90분 진행하였다. 이혼진행중인 부모는 각자 개별상담, 가족상담 1회, 부, 모, 담임교사는 연구대상자 상담 후 필요시 상담하였다. 선택적 함묵증 연구 대상자의 자기표현 변화는 HTP, 관계 변화는 KSD를 사용하였고, HTP, KSD는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변화과정은 미술 활동 작품, 회기 과정의 녹취록, 상담일지 등을 활용하여 회기별 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HTP 사후검사에서, 그림의 크기가 3배 정도 커지고, 위치와 구도가 안정적이며 인물화의 음영이 사라지고 웃는 모습이 나타난 점에서 자기표현이 향상되었다. 둘째, KSD 사후검사에서, 그림이 4배 정도 커지고, 위치와 필압, 지우개 사용이 안정적이며, 얼굴의 내면을 그린 점에서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다. 셋째, 회기별 진행 과정에서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솔직하게 자신을 보여주면서 자기표현 및 관계 모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및 대인관계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i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with selective mutism.
Methods The research subject is a third-year middle school male student with selective mutism who meets all five criteria of DSM-5 diagnosis. The art therap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9 to February 2020, totaling 19 sessions. The research subject received one session per week, each lasting 45 minutes. However, sessions that were conducted in parallel with test and counseling, and the interview counseling of father were ex-tended to 90 minutes each. The parents, who were going through divorce, received individual counseling, family counseling session was conducted once, the father, mother, and a homeroom teacher were provided counseling as needed after the sessions with the subject. The study used HTP for examining changes in self-expression of the research subject with selective mutism, and KSD for exploring changes in relationships. HTP and KSD were evaluat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test results. The process of change was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artwork created during art activities, session transcripts, and counseling journals for each session.
Results Firstly, in the post-test of the HTP, the size of the drawings increased by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positioning and composition became more stable, the shading in the human figures disappeared and the depiction of a smiling expression indicated an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Secondly, in the post-test of the KSD, the size of the drawings increased by approximately four times, and the positioning, pen pressure, use of an eraser being more stable and the inner aspect of the face being apparent indicated an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ly, throughout the progression across sessions, the subject exhibited emotional stability and genuine self-expression, leading to positive changes in both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clusions considering the combined results, art therapy had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with selective mut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