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유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863~8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PBL 기반 유아문학교육 교과목을 운영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과정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 2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15주간 유아문학교육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반성적 저널과 그룹 면담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PBL 기반 유아문학 수업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PBL기반 유아문학교육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익숙하고도 낯선 유아문학, 알수록 보이고 볼수록 즐거운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지식의 확장’으로 나타나고, 혼자보다는 함께하는 기쁨을 주는 ‘협력적 문제해결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PBL기반 유아문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다양한 가치를 담고, 일상과 호기심에서부터 상상과 창작으로 확장되는 유아문학교육 특성에 대한 인식과 다리와 조각가와 같은 교사의 역할과 문학적 감수성과 창의력이라는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문학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 교원양성과정에서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구체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실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 their meaning by operating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ourse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25 first-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4-year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problem-oriented learning was applied to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for a total of 15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The data col-lected reflective journals and group interview data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course.
Results The experience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was found to be familiar and unfamiliar early childhood literature, an “expansion of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that was more enjoyable to see and see, and an “experie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at gave them the pleasure of being together rather than alone.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contains various values and expands from daily life and curiosity to imagination and cre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eking various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nd providing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pecific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