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effects of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depression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혜선 하지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603~61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이 학령기에 진입한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집행기능을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학업수행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진행하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의 4차년도(2011), 8차년도(2015), 9차년도(2016)의 864가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변인들의 기술통계 수치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변인들 간의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 우울은 초등학교 2학년 시기 아동의 학업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 우울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학업수행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학업수행을 설명하는 데 있어 유아기 기질과 환경 경험, 그리고 초등학교 입학 시기의 집행기능의 역할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동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depression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Methods Data from parents and children of 864 families from the 4th, 8th, and 9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negative emo-tionality, maternal depressi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y, and their academic performance.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y.
Results Findings showed that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depression didn’t have direct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erved as a mediator to the longitudinal effects of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depression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environment. The present results also emphasize the role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at explains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environment have an effect on children’s outcomes in academic domai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