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reativity Research Trends within Universities Using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태연 추교남 한기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539~5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대학에서 수행하는 창의성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대학의 창의성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RISS를 활용하여 2002년부터 2023년까지 대학에서의 창의성 교육 연구를 수합 한 결과, 총 813편의 논문과 총 1,566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출현빈도 5개 이상인 95개의 키워드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였고, 교양교육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 분석결과, ‘토픽1. 창의성 강화를 위한 팀 기반 프로젝트’, ‘토픽2. 대학생의 창의성 발현 요인’, ‘토픽3.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토픽4. 대학생의 진로와 창업’, ‘토픽5. 글쓰기를 통한 창의성 함양’, ‘토픽6. 디자인 씽킹과 창의성 교육’의 주제로 총 6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의 창의성 연구를 탐색해봄으로써 향후 대학 창의성 교육과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in creativity-related research conducted within uni-versities using topic modeling, and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creativity research in academic institutions.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the compil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at uni-versities from 2002 to 2023 using RISS. As a result, a total of 813 papers and 1,566 keywords were extract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95 keywords with an occurrence frequency of five or more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a consistent annual increase in creativity research within universities, with a notable emphasis on being prevalent in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analysis, a total of six distinct topics were identified: ‘Topic 1: Team-based Projects for Enhancing Creativity’, ‘Topic 2: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Ex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opic 3: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re Competenci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pic 4: University Students' Career and Entrepreneurship’, ‘Topic 5: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Writing’, and ‘Topic 6: Design Thinking and Creativity Educ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university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formulation of diverse polici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creativity research within univers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