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Parental Role Belief, Family-Friendly Policies, and Mother's Gatekeep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원 안선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447~4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모역할 신념,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제도, 어머니 문지기 행동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0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양육참여, 부모역할 신념, 직장의 가족친화제도, 어머니 문지기 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아버지 양육참여는 학력과 총수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아버지 양육참여는 부모역할 신념과 어머니 문열기 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문 닫기 행동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 양육참여에 부모역할 신념과 어머니 문열기 행동,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은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역할 신념, 어머니 문열기 행동, 가족친화제도 순서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부모역할 신념을 정립하고 아버지의 양육방식에 대한 어머니의 긍정적인 태도가 필요할 뿐 아니라 기업에서는 가족친화제도의 적극적인 시행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s, family-friendly policies of father's workplace, and mother's gatekeeping behavior felt by fathers o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Methods A total of 308 father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5 years old were surveye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parental role belief, family-friendly policies and mother's gatekeeping behavior were measu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father's background variable, the total educational income was significant. Second, participation in parenting, parental role beliefs, and mother's gate-opening behavi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gate-closing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parental role beliefs, mother gate-opening behaviors, and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ther-parenting participation a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role beliefs, mothers' gate-opening behavio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had an effect in that order.
Conclusions Father's personal beliefs, mother's gate-opening behavior and family-friendly policies are factors that positively promot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