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utoethnography on the Walk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예림 고문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367~3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 초등교사의 걷기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자신의 걷기 경험에 관한 기록을 통해 자신의 삶과 교사로서의 삶을 성찰하도록 할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 자료는 연구자의 자극 회상 질문지, 연구자의 걷기 일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한 초등교사의 걷기 경험 이야기는 걷기의 봄·여름·가을·겨울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걷기의 봄 이야기는 걷기로의 입문과 걷기를 통한 힐링이 도출되었다. 걷기의 여름 이야기는 걸으며 해결하기: 다음 단계로의 성장, 타인과 고민 공유하기: 고민의 확장이 도출되었다. 걷기의 가을이야기는 나의 내면에 집중하기, 걷기의 열매 나누기: 아이들과 함께 걷기가 도출되었다. 걷기의 겨울이야기는 반성하며 걷기, 새로운 시작을 위한 준비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한 초등교사가 자신의 걷기 경험에 관한 기록을 통해 개인과 학생 그리고 동료 교사들에게 나타난 긍정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걷기는 교사들의 긍정적 정서 강화, 교사 자신의 갈등과 고민 해결, 학생들과의 소통의 창구 역할 그리고 교육적 반성을 통한 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lking experience as Autoethnography. This study will all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ir lives through the records of their walking experiences.
Methods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the researcher's stimulus recall questionnaire, the researcher's walking diar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Result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lking experience story was composed of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tories of walking. In the spring story of walking, the introduction to walking and healing through walking were derived. The summer story of walking was solved by walking: growing to the next level, sharing concerns with others: expansion of concerns. The autumn story of walking was derived from focusing on my inner self and sharing the fruit of walking: walking with children. The winter story of walking was categorized into walking with reflection and preparation for a new beginn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derived positive meanings for individuals, students, and fellow teachers through a record of his or her walking experience. Walking will strengthen teachers' positive emo-tions, solve their own conflicts and concerns, serve as a window for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growth through educational ref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걷기 경험 이야기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