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Impact of Reflective E-Journaling on Korean Adult EFL Learners’ English Anxiety and Course Achievement
이용수 40
- 영문명
- The Impact of Reflective E-Journaling on Korean Adult EFL Learners’ English Anxiety and Course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표시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307~3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 EFL 성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성찰일지 작성이 영어 불안감과 수업 성취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꾸준한 성찰일지 작성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도록 이끌어 영어 학습과 관련된 모호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15주 동안 ‘특수대학원생들을 위한 기본 영어 독해’를 수강하는 서울 소재 특수대학원생 1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 강좌를 진행하면서 주간 성찰 일지, 외국어불안감척도 설문조사 및 기말 성적 산출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양적-질적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영어 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높은 수준의 영어 불안, 특히 시험 불안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지만, 그렇다고 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이 중간과 낮은 불안 수준의 집단에 비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인 것은 아니었다. 성취도와 영어 불안 수준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불안감의 수준 간에 학업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어 불안감이 높을수록 성찰일지 작성 횟수가 높았으며, 이를 LMS에 공유함으로써 상호작용, 동기부여 및 복습 효과를 보였고, 높은 학업성취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높은 성취도를 지닌 학생들도 영어 불안감이 높을 수 있으며, 낮은 학업 성취도가 높은 불안감에서 비롯되었다는 기존 견해를 반박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촉진적 불안감은 성찰일지를 지속적으로 작성하도록 유도하는데, 꾸준한 성찰일지 작성은 자신의 학습과정에 대한 메타인지를 촉진시켜 학업 성과 향상에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impact of online reflective journaling on English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adult EFL learners in an online English course. It aims to investigate whether con-sistent engaging in reflective e-journaling can act as a mediator to help overcome vague anxiety related to English learning by reflecting on their learning processes, leading a positive effect on course achievement.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48 participants who took “Basic English Reading for Graduate School Students in Professional Studies” in a 15-week online course.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s’ weekly e-journaling, the FLCAS survey, and their final exam scores,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 achievers in course achievement exhibited higher levels of anxiety, while the reverse was not observed.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anxiety leve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rse achievement across anxiety levels. High levels of English anxiety were associated with more frequent reflective journaling, promoting learning process awaren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t was reported that sharing journals on the LMS board facilitates students interaction, motivating active engagement.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ven high-achieving students can experience elevated levels of English anxiety,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is not solely attributed to heightened anxiety levels, refuting the conventional concept of English anxiety.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facilitative anxiety prompts consistent engagement in reflective journaling, which enhances meta-cognition of one’s learning process, thus serving as a mediator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