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s of Tinkering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연홍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133~1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수업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연습활동으로서의 자료 팅커링 활동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북 소재 D 대학에서 메이커 교양교육을 수강하는 학부생 197명을 선정하였으며, 그중 168명은 실험집단에, 29명은 통제집단에 분반에 따라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를 수행한 이후 메이커 교양수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12주간 온라인 환경에서 자료 팅커링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사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메이커 교양 수업만 진행하였으며, 팅커링 활동은 수행하지 않고 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t=2.280, p=.012), 실험집단의 사전 수준보다도 유의미하게 높았다(t=2.837, p=.003). 또한, 학습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 결과에서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F=4.026, p=.047), 전공계열과 성별 사이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3.101, p=.048). 이후 실험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5.278, p=.023).
결론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대학의 메이커 교양 수업에서 자료 팅커링 활동을 적용할 경우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모든 특성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향상 효과가 있었으나, 특히 공과대학 남성 및 예체대학 남성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에 각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료 팅커링 활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inkering activities as digital literacy practic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on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197 students enrolled in a maker general education course at D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were selected. Among them, 168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tinkering activities online for 12 weeks while taking the maker general education course, after completing a pre-test for digital literacy. The control group only participated in the maker general education course and underwent a post-test for digital literacy.
Results The post-test digital literac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2.280, p=.012), and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2.837, p=.003).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cores based on students' major, grade, and gender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in the pre-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F=4.026, p=.047), as well 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jor and gender (F=3.101, p=.048). In the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igital literacy scores based on gender (F=5.278, p=.023).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corporation of tinkering activities in uni-versity maker general education courses can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levels. The im-provement effects were observed among student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among male students in engineering and fine arts colle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tu-dents when implementing tinkering activities in each 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