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Uncertainty Stress and Career Undecided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Process Response Strategies and the Regulating Effect of 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섭 박재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 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회복탄력성 및 진로 미결정의 관계를 검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실증연구를 위하여 충청남도 소재 3개 대학 1학년~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 스트레스는 진로미결정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진로불확실성의 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회피형 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로나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회피형 전략이 진로 미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로나19와 같은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및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college students make career decision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uncertainty stress, career stress coping strategies, resilience, and career undecided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Metho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first to fourth grader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nd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uncertainty str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undecided decision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voidance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of career uncertainty and career undecid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career stress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avoidance strateg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areer undecided decision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resilience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career undecided.
Conclusion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matters to be considered in career decisions by high-ligh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cisions of college students in uncertain situations such as COVID-19.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