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Needs of Educational Support at the Life Cycle Level of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Focusing on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승숙 임은주 주은미 남민우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2 동계학술대회, 67~7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경제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는 고유한 특성에 부합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장애와 비장애,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이분법적 운영체계로 인한 교육과 복지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생애주기 차원의 교육지원 현황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방향은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기도에 거주하는 경계선급 지적 기능 당사자, 학부모, 교사, 기관 관계자 총 5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에게 생애주기별 교육지원 현황과 요구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당사자와 학부모의 경우 온/오프라인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이외 참여자들은 온라인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의 전 생애주기 차원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 및 지원 요구와 생애주기별 발달과제에 따른 특성 및 지원 요구를 분석하였다. 공통적 특성으로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들은 등록 장애인으로 진단되지는 않지만 장애학생에게 요구되는 개별화된 교육내용과 지도 방식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성의 어려움이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생활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기초학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은 구직과 직장생활, 가족 및 사회에서의 소속감, 정신건강 등의 어려움으로 심화되어 나타났다. 결론: 경계선급 지적 기능 학습자를 위한 전 생애주기차원에서 종합적, 맞춤형 지원을 마련하여야 하고, 이 중 특히 학령기 과정에서의 적극적인 선별과 진단, 학교 안 교육의 책무성 강화, 학교 밖 교육의 전문성 증진, 부모교육 및 일원화된 지원시스템 구축 마련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