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working memor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새별 강옥려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510~53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학교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초등학생용 작업기억 검사를 제작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 연구방법: 연구대상-서울에 위치하는 S초등학교 학생 중 예비검사 35명, 본검사 257명, 검사 도구 제작- Baddeley(2000)의 다중요소모델에 근거하여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 중앙집행기의 세 하위요소에 따라 총 8개의 소검사로 구성->검사도구의 흐름도를 전문가 5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음->S대 컴퓨터공학 전공자에게 의뢰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친숙한 UI, UX바탕의 컴퓨터 검사 프로그램 제작, 제작된 검사 프로그램은 예비 검사를 통해 검사상의 오류를 수정, 최종 수정된 검사도구로 본 검사를 실시.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하위요소에 따른 소검사는 음운루프(숫자폭, 역순 숫자폭, 철자폭), 시공간잡기장(매트릭스폭, 역순 매트리스폭, 화살폭), 중앙집행기(읽기폭, 대칭폭)으로 구조화한 연구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구조화된 모형에 따라 R 프로그램의 mirt, eRm 패키지를 활용하여 Rasch 분석 실시한 결과, 1) 부적합 대상자를 제외한 문항 적합도 지수 분석에서 3문항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2)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에서는 6문항이 선별됨, 3) 피험자x문항분포도 분석에서는 각 문항들이 피험자의 수행 결과와 일관성이 있으며 적절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4) 피험자 분리신뢰도와 분리지수 분석에서는 검사도구가 일관성 있고, 피험자의 수행 차이를 효과적으로 잘 분리하는 것으로 나타남. 결론: 최종적으로 음운루프 57문항, 시공간잡기장 54문항, 중앙집행기 33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됨.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