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Status of Korean Sign Languane (KSL) corpus: focusing on 2019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송미연 강창욱 원성옥 홍성은 변강석 이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474~489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문자가 없는 수어의 보존, 농문화의 기록, 수어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의 필요와 수어 연구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해 연구 기반이 되는 원시 수어 말뭉치 구축과 말뭉치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경남지역 수어 원어민 11쌍(22명)을 대상으로 13개 과제에 대한 언어자료를 촬영, 편집 및 시스템에 탑재하였고, 기 구축된 서울지역의 말뭉치 135분 1초 분량의 수어 자료의 기본주석 정비 및 의미주석 기록을 실시한 후 이를 활용하여 생산적 수어의 의미와 도상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18년 수행된 원시 말뭉치 수집에서 언어제공자의 수가 가장 적었던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총 11쌍 22명의 언어제공자로부터 총 36시간 47분 분량의 수어자료를 확보하였다. 기본 주석이 완료된 서울지역 수어자료 총 11개 파일 135분 1초 분량에 대한 기본 주석 정비와 지시를 제외한 의미 주석을 기록한 결과 고정된 수어의 토큰 수는 19,252개, 생산적 수어는 총 611개로 나타났다. 611개의 생산적 수어의 도상성 기법을 분석한 결과 모든 도상성 기법이 나타난 수형은 [구형1]이었으며 4개(손대체기법, 손이용기법, 스케치기법, 측정기법)의 도상성 기법 중 가장 많이 나타난 기법은 개체를 대신하는 손대체 기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원시 수어 말망치를 구축함에 따라 지역 변이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구축된 자료를 활용한 사례 연구 제시를 통해 과학적인 수어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