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terature Review on Educational Needs and Support Methods of Cerebral Palsy with CVI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황정현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409~4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CVI(대뇌/피질 시각장애)를 가지는 뇌성마비 학생의 시각특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CVI를 가지는 뇌성마비 학생의 시각 특성과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CVI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시각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부상되기 시작한 199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최근 30년 동안인 1990년 1월 ~ 2020년 9월까지의 국내.외의 국문과 영문으로 발간된 학술논문(6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VI를 보이는 뇌성마비 학생들은 시력과 관련되어 격자 시력의 감소를 보이며 원거리보다는 근거리에서 시각밀집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시야와 관련된 특성으로는 두 눈의 양쪽 반맹이 많고 아래쪽 시야가 침범된 경우가 많으나 자연 성장에 따라 지연된 시기능성숙을 보이기도 하며 시각자극의 양과 집중 정도에 따라 시야 검사 결과가 크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색각에는 별다른 이상이 보고되지 않았다. 그 외에도 CVI의 보기 특성 10가지, 특정 색상 선호, 시각적 지연보기,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높은 집중도, 선호하는 시야 범위, 복잡한 시각정보에 대한 인지의 어려움, 빛에 보이는 높은 집중력, 눈의 반사, 거리와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이해의 어려움, 가까운 물건 보기 선호, 익숙한 물체 보기 선호 등의 10가지 시각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뇌성마비 학생들의 보다 바른 시기능 이해를 위한 한국형 시기능 평가 척도의 개발, 시각 특성을 고려한 배치와 교육환경의 구축, 시력과 시야만으로 판단하는 시각장애 판정 기준의 개선 등과 관련된 후속연구의 수행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