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hanges in self-efficacy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남숙 곽승철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357~36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특수교육학개론’ 수강과목이 통합교육적 맥락에서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관련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를 분석하고 그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현장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커리큘럼 재구성 필요 제고 목적. 연구방법: 본 연구대상은 G 지역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 51명(남 21/여 30, 국어와 사회심화전공)이며 사전검사-15주 강의(현 특수학급 담당교사 초청특강, 예비초등교사 과제로 장애 관련 예술작품 감상 후 에세이 제출 포함)-사후검사로 연구절차 진행하면서 설문자료 수집함.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항목으로 총4개 설문영역 구성하여 SPSS 24를 이용하여 자료처리 및 분석함. 연구결과: 특수교육학개론 강의 후 통합교육 맥락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및 의사소통장애, 지체장애, 지적장애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지만 중도·중복장애와 정서·행동장애에서는 그렇지 않음. 예비초등교사의 성공기대 및 확신에 따른 집단의 내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성공기대 및 자신(사전 저 → 사후 저) 집단 66%, 성공기대 및 자신(사전 고 → 사후 저) 집단 27%, (사전 저→ 사후 고) 집단 19%, (사전 고 → 사후 고) 집단 12% 순으로 나타남.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관련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관련 영역별 변화결과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자세히 살펴보면, 장애와 비장애학생 통합수업 이론과 실제에서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반면 그 외 영역(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이해, 장애아동 수용태도 및 인식, 장애학생 행동 중재 이론과 실제)에서는 그렇지 않음. 결론: ‘특수교육학개론’ 강의만으로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그리 높은 평균을 보이지 않고 예비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장애학생의 장애정도와 유형이 비교적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 예비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다양한 강좌 개설을 고려할 필요성 있음.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