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empathy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EBD and without EBD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희 황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303~3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공감 수준을 비교해 봄으로써 정서·행동 문제를 다루는데 두 변인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P 광역시와 K도의 11개 초등학교 및 3개 복지관에 소속된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 162명, 일반아동 어머니 171명이었다. 이들에게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공감 수준을 조사하여 t-검증, ANOVA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공감 수준은 두 집단 모두 보통 이상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공감수준이 일반아동 어머니 수주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에서 각 집단을 살펴보면, 부모자녀 상호작용 수준에서 일반 아동 어머니는 연령과 자녀변인,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는 사회경제적 변인인 학력과 소득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와 일반 아동 어머니의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공감 하위영역에 대한 상관관계는 정서·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공감의 각 하위 영역들 간에 그 관계가 더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정서·행동장애아동의 문제는 아동의 생물학적 결합 이외에 환경적인 요소가 중요한 영향 변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가족 변인 중 양육자의 변인은 핵심적인 보호 요인이 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도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정서·헹동장애아동을 직접적으로 교육지원하는 것과 함께 가족 변인인 주양육자의 지원방안을 함께 제공해 주는 포괄적 지원(comprehensive support)이 제공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