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Related to Internet & Smartphone Addic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유현영 이근매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287~30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관련 미술치료의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 연구동향 파악 연구방법: 분석 기준에 따라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로 분류, 빈도수 측정, 백분율 산출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관련 미술치료 연구는 2011년 이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둘째, 주 대상은 초등학생, 5~10명인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중독이 포함된 부적응 및 문제행동 개선, 측정도구는 투사검사와 객관적 검사를 혼합하여 사용한 혼합사용, 치료기법은 혼합기법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넷째, 질적과 양적을 통합적으로 본 통합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실험·통제집단, 11-15회기, 주1-2회, 90분 이상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관련 미술치료 연구는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 정서적, 신체적, 집중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 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조기부터 예방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주제는 부적응 및 문제행동 개선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이 나타나 미술치료는 문제행동을 가진 대상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도구와 기법에 있어 혼합 사용이 많이 나타났는데 객관적 검사와 투사검사를 혼합하여 측정한 것이 객관성을 높이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치료기법에 있어 미술치료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할수록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대상자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실험·통제집단, 11-15회기, 주1-2회, 90분 이상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중독에 대한 중재방법연구와 미술치료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