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Study on the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전병운 이지선 장오선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184~19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 관련 연구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6년부터 2020년 8월 사이에 발표된 특수교육 교육과정 관련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 총 44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분석 틀은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고, 총론은 연구주제에 따라 범주화했고, 각론은 교과별로 분류하여 내용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총론 관련 연구에서는 기본 교육과정의 교육 방향, 목표, 평가가 적용 대상 학생에게 적합한지 논의와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교육과정 개정 시 이 부분에 대한 충분한 현장 의견 수렴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적으며, 기계적 실행수준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했다. 각론에 대한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다양한 교과에 대해 연구되고 있지만 그 수가 매우 적었다. 연구들은 크게 교육과정 간 내용 비교 연구,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핵심역량, 교과 영역 및 성취기준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었다. 결론: 2015 특수교욱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교육과정 관련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었고, 총론 관련 연구는 원론적인 문제 제기를 한 연구였으며,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정 방향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였다. 각론도 교과별 지엽적인 관점에서 현행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 교육과정 운영과 교과서 개발과 직결되는 성취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었다. 따라서 교과별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적정성에 대한 연구가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분석 대상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