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the way to improve of evaluation of IEP in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 최승숙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159~16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IEP 본연의 목적과 기능에 부합된 운영을 위해 IEP 평가영역 작성 실태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K교육청 소속 특수학교 16개교의 초등 과정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을 학기 평가와 월평가 자료를 추출하여 총 9개교 22세트의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내용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IEP 수립 과목의 경우, 모든 교과목을 선택하는 형태와 일부 과목을 선택하는 형태를 보였으며, 평가 시기는 학기 평가와 매 월 혹은 2-3달 간격의 평가로 구성되어 있었다. 진술 형태는 서술형과 척도와 함께 서술형으로 작성된 혼합형으로 실시되었고 반응 정도의 분석 결과, 서술형의 경우 능동 반응이 우세인 반면 척도형은 촉진 반응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요소 영역은 ‘기능’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평가 내용에서 추후 교육 연계의 필요 내용을 제시한 부분은 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육현장에서의 IEP의 평가 영역이 종합적 교육지원계획의 주기적 확인과 학생 진보에 관한 누가적 기록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인식 전환과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평가 시기에 대한 합의, 주기적인 평가와 환류 과정에서 개별화교육지원팁 협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평가의 구성 요소를 반영한 적절한 작성 예시안 등이 포함된 합의된 평가 지침의 개발 및 공유가 필요한 실정이다. IEP 평가의 질 향상은 IEP-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이룰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