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황중심 공감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 또래관계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공감적 대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1
- 영문명
- Effects of the Situation-based Empathic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Inclusive Elementary Class Students’ Empathy Abilities, Peer Networks,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s, and Empathic Conversational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한경인 박승희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20 추계학술대회, 119~1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황중심 공감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학생들의 공감능력, 또래관계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공감적 대화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의 5학년 4개의 통합학급 학생이며, 실험집단 2개의 통합학급 학생들(비장애학생 44명, 장애학생 2명)은 국어, 도덕 교과 시간에 총 12회기의 ‘상황중심 공감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변인 4가지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공감적 대화행동의 총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 장애학생들의 공감능력과 공감적 대화행동의 총점 또한 통제집단 보다 높아졌다. 둘째,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의 또래관계망 총 관계 수 및 하위영역 모두의 평균이 통제집단 보다 높았으나 장애학생들은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공감적 대화행동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고,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척도로 학생들의 대화를 직접 관찰하여 공감적 대화행동 측정을 시도한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효과가 입증된 상황중심 공감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의 국어, 도덕 교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진행되었으므로 교과교육 맥락에서 공감교육의 새로운 교육내용으로서 활용 가치가 기대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