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Learning Support Mentoring Program for Successful School Return of Students with Other Health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연 이대식 김수연 신재현 이은영 박인숙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춘계학술대회, 506~51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3개월 이상의 장기결석 상태로 치료를 받은 후 학교로 복귀하는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학급지원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동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학교 복귀를 위한 건강장애 학생의 학습지원요구 및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가자는 교대에 재학 중인 6명의 예비교사(멘토)와 5명의건강장애학생(멘티)으로 구성되었다. 멘토링은 2018년 6월~11월까지 한 학기동안 건강장애학생이 소속된 학교에서 주 1회, 회기당 2시간, 총 3회기~17회기에 걸쳐서 개별학생의 건강상태 및 출석율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멘토의 학습지원 일지, 멘토링 소감문, 멘토와의 개별면담, 평가회를 통한 집단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학습지원 멘토링은 국어, 수학, 과학, 진로 등의 영역에서 진행되었으며, 학교 현장의 협력과 지원 및 멘토와 멘티의 경험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멘티는 멘토링 초기에 낮은 학업적 자신감과 낮은 에너지·동기 수준을 보였다. 학습지원 멘토링의 어려움은 학생의 낮은 결석, 낮은 에너지 수준, 시공간·거리상의 제약 등으로 나타났다. 학습지원 멘토링의 지원요구로는 좀 더 지속적인 멘토링 제공,멘티의 학업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 학습지나 지도안 제공 등에 대한 요구가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복귀를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이와 관련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들이 실행되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