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associations of working memory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 moderator analysis by learners’ disability profile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신미경 김우리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춘계학술대회, 478~49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문헌을 중심으로 작업기억과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1975부터 2019년까지 영어로 발표된 논문을 포함시켰으며, 참여자들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로 이루어졌다. 본 메타분석에서는 Baddeley(1998)가 제안한 다중구성 작업기억 모델(multi-component Working memory model)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작업기억을 음운 루프, 시공간 스케치판, 중앙집행기의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 개발한 측정도구 및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모두 포함시켰다. 연구결과: 총 19개의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R 프로그램을 활용한 메타분석이 실시되었다. 작업기억과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자 관련 특성(나이, 성별, 장애,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내용, 작업기억 세부 과제)에 따른 조절효과도 분석되었다. 작업기억과 학습자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은 모두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 관련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는 다소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업기억과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밝힘으로써 학습자들의 인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추후 수학 중재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문제해결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기억의 역학에 대한 중요성과 현장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