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Elementary Class of The Bridg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한경임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춘계학술대회, 395~40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브릿지스쿨의 초등학급에서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보조공학지원에 대해 관찰한 것을 소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자는 1년간 브릿지스쿨에서의 참여관찰을 통해 초등학급의 학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되는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해 관찰하고 내용을 정리하였다. 초등학급의 재학생은 모두 7명이었으며, 뇌성마비와 의사소통장애, 지적장애, 대뇌피질성시각장애(CVI)를 중복으로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관찰 현장인 브릿지스쿨 초등학급 담당 직원은 특수교사 1명, 언어치료사 1명, 보조공학사 2명, 보조교사 5명이었다. 연구자는 보조원으로 참여하며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브릿지스쿨의 보조공학 서비스를 인지발달과 문해력 지원, 의사소통 지원, 모빌리티(이동성)지원, 일상생활 기능 지원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인과관계 개념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문해력 관련 보조공학 서비스 지원은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글 쓰기 소프트웨어와 컴퓨터의 활용이 많았다. 둘째, 의사소통 지원에서는 노테크에서 하이테크까지 다양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가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일상생활기능 지원에서는 식사 시간에 가능한 스스로 식사하도록 하기 위해 학생 개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보조공학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모빌리티 지원에서는 손 사용이 자유로운 워커를 이용해 휴식시간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도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보조공학을 적용할 때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Ⅲ.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