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vocabulary in the integrated subjects of basic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using big data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송승민 이지연 송미연 주은미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춘계학술대회, 368~384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통합교과에서 제시하는 성취기준과 교과서 내의 어휘에는 어떠한 차이가 잇는 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통합교과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지문을 대상으로 수합하였다. 수합된 지문의 어휘 다양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TTR, RTTR을 산출하고,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R(3.5.3), UCINET, Netdraw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어휘 다양도를 살펴보면 성취기준의 경우 기본 교육과정은 TTR 10%, RTTR, 1.43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TTR 11.69%, RTTR 1.45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교과서는 반대로 기본 교육과정 TTR 1.71%, RTTR 0.72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TTR 1.18%, RTTR 0.60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어휘의 내용을 살펴보면 성취기준에서는 ‘모습’, ‘표현’, ‘생활’이 교과서에서는 ‘우리’, ‘나’가 두 교육과정 모두에서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통합교과에서 제시하는 모든 어휘를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양 교육과정 간의 상관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