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n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홍정숙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춘계학술대회, 325~3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 분석대상 문헌은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특수교육사 관련 논문이다. 발표연도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총 12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술지 논문은 97편(80.9%)이었고, 학위논문은 23편(19.1%)이었으며, 2000년대에 가장 많은 논문(70편, 58.3%)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시기는 통사의 비중이 기간을 한정한 논문보다 월등히 높았다. 셋째, 한국특수교육사 연구는 85편(70.8%), 외국 특수교육사 연구는 35편(29.2%)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전체사 연구였으며(110편, 91.7%), 지역사 연구는 10편(8.3%)에 불과하였다. 넷째 특수교육대상 유형별로는 특수교육 전반의 역사를 다룬 일반 논문이 79편(65.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내용 영역에 따른 동향은 특수교육 제도사(41편, 31.1%), 특수교육 사상·인물사(40편, 30.3%), 특수교육 내용·방법사(21편, 15.9%), 특수교육 문화사(15편, 11.3%), 특수교육학사(13편, 9.9%), 특수교육 구술사(2편, 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에서 연구가 미진하거나 편향된 부분을 밝히고, 균형 있는 특수교육사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