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Mean Difference Test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using Bayesian Theory and the ROPE Concept: with a Focus on Practical Significance Testing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여승수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2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전통적인 t 검증 분석은 특수교육 연구에서 두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주요한 통계 방법으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t 검증 분석은 빈도주의 통계에 기반을 두고 있기에, 통계적으로 유한 평균의 차이 검증은 가능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는 실제적 유의성을 검증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t 검증 분석 방법의 대안으로 베이지안 이론과 ROPE(Region of Practical Equivalence)의 개념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분석 방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특수교육의 예시 자료를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 후에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ROPE를 활용한 베이지안 이론은 특수교육 연구에서 실제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데 유용하며, 평균의 차이에 대한 풍부한 분석 결과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traditional t test has been the primary statistical method for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means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However, since the t-test is based on frequentist statistics, it has the limitation of being able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statistically finite means, but not the practical significance that is meaningful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t test analysis method that utilizes Bayesian theory and the concept of ROPE (Region of Practical equivalence).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this study analyzed example data from special education with both methods and compar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ayesian theory using ROPE is useful for testing practical significance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and can additionally provide richer analysis results for differences in mean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베이지안의 ROPE를 적용한 분석 예시
Ⅳ. 논의 및 특수교육 연구의 시사점
Ⅴ. 향후 연구 주제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