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Analysis of Group Awareness and Needs to Develop Assistive Technology Assessment and Evaluation Tool of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양 안나연 공진용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1호, 165~1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 특수교사, 보조공학사를 대상으로 교육용 보조공학 진단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요구를 살펴보고 향후 교육용 보조공학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별 포커스면담 및 심층면담으로 진행하였고 각각 5명의 특수교사, 2명의 부모, 3명의 보조공학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면담 자료는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총 4개의 대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내 교육용 보조공학 현황, 둘째, 제도의 한계, 셋째, 진단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방안 모색, 넷째, 진단평가를 위한 다영역 협력체계 강화와 같은 4개의 대주제 결과가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s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teachers, and assistive engineers for analyzing the assessments and evaluation of the use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as well as potential research for the future needs. This study consis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ve special teachers, two parents, and three assistive engineers. All interviews a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interview results in a qualitative study with four major topics including with 14 sub-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major topics are drawn as followed: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in schools; second, the limitation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schools; third, procedure to develop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final, improvement of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system for the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conclusion,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raw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