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개발에 참여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교사 600명,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 100명이었다. 주요 설문 영역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개발 종 수 및 책 수의 개선 방향과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질 관리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결과 특수교육교사의 교과용도서 활용은 보통 정도로 활용하며, 교과서보다 지도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교과용도서 개발 종 수와 책 수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와 교과용도서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의견은 달랐다. 특수교육 교사는 현행 교과용도서의 종 수와 책 수를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교과용도서 개발 참여자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특수교육교사와 개발 참여자 모두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과용도서 개발 경험 참여자의 편찬과 개발비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삽화료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compil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6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0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s a resul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d text-books by an average degre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both the type and number of text-books. by an average degree but the participants who assi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recognized that they were under production. All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for digital special education text-books. In relation to the cost of compilation and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ho had developed special education text-books recognized the increased cost of development regarding the illustrations within the text-books. These results will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al policy regarding the compil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