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Disability, Competency with Special Education,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fficiency of Inclus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배애란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4권 제3호, 223~2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인식과 특수교육 전문성, 장애학생의 초등학교 전환 그리고 통합교육 효율성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장애인식 15문항, 특수교육 전문성 17문항, 장애학생의 초등학교 전환 15문항, 그리고 통합교육 효율성 15문항으로 총 62문항이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조사연구에 참여를 승인한 전국의 31개 초등학교에 62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에서 최종적으로 475부(77.02%)를 구조방정식 모델링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인식은 특수교육 전문성, 장애학생의 초등학교 전환, 그리고 통합교육 효율성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비표준화 계수의 통계적 차이에 한정하여 필요조건으로 이해된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인식, 특수교육 전문성, 장애학생의 초등학교 전환, 그리고 통합교육 효율성의 경로에 대한 직․간접효과는 장애인식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별성을 확보하는 경우에 한정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설명력은 장애인식이라는 요인에 따라서 달라지는 구조임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to illu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petency with special education,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fficiency of inclusion educ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62 items: 15 items focused on perceptions of disability; 17 on competency with special education; 15 on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5 on the efficiency of inclusion education. The researcher sent out cooperation letters to 31 elementary schools in five provinces nationwide. Thirty-one elementary schools responded favorably for participation and 62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475 copies (77.02%) were process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 major factor that explained competency to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iciency of inclusive education. However, the results were limited to statistical requirem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y with special education depends on their perception of dis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