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희 곽승철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3권 제4호, 241~27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교육 분야에서 한 명의 학생도 소외됨 없는 수업실천을 목표로 수업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교육 상황에서 적용한 실행연구이다. 중도의 자폐성 장애학생 1명과 경도의 자폐성 장애학생 1명, 일반학생 9명으로 구성된 N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3명의 일반교사와 2명의 특수교사가 이 연구의 수업 협의회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배움의 공동체 수업실행 8회기와 9회기의 협의회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배움의 공동체 수업실행 과정을 통해 장애학생 통합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을 위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실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긍정적인 변화와 성찰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반교육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수업혁신 운동을 통해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실천한 것으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불필요하게 이원화된 관점을 극복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ction research is about how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is applied to inclusive education.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has recently become a leader in classroom innovation to practice the class no child left out in gene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sixth-grade students in N elementary school and included one student with a severe disability, one student with a mild disability and nine general education students. Thre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the learners’ community. We collected data from eight classes and nine discussion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we realized that the learning community class was suitable for inclusive education. Second, we studied the participants’ changes and reflections. This study practiced inclusive education through classroom innovation movement played a leading role in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to overcome viewing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as separate, and instead regard them as part of a single educ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배움의 공동체와 통합교육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