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lections on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for Preparing for the Post-COVID Era: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E-Medical School in Seou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소미 고아라 편욱범 태정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819~8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시대 임상실습교육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정보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소재 E-대학교 의과대학에서 2022년 12월 임상실습 교육 개선을 위하여 임상실습 과별로 진행한 ‘임상실습 선진화 회의’의 회의록과 각 임상 실습과에서 제출한 ‘2023학년도 임상실습 개선 계획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방법을 차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시기, 임상실습 교육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교육의 긍정적 요소와 임상실습 교육의 부정적 요소 2개 영역에서 8개 범주, 1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개선 계획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교육 실시 전 교육 개선 노력과 임상실습 중 교육 운영 개선 노력, 장기적 개선의 3개 영역에서 6개 범주, 23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살펴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제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원의 2개 영역에서 6개 범주, 1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COVID-19 시기 이루어진 임상실습 교육을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임상실습 교육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임상실습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and gather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the minutes of the ‘Clinical clerkship Advancement Conference’ held in December 2022 and the ‘2023 Clinical clerkship Improvement Plans’ submitted by each clinical clerkship department at E-Medical School in Seoul. The study employed the Focused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when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a total of 8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wo domains: positive factors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negative factors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Second, when examin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domains: efforts for pre-implementation education improvement, efforts for operational improvement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long-term improvement. Third, when exploring the requirements for clinical clerkship in the post-COVID er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wo do-mains: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necessary support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linical clerkship in the post-COVID er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improvements in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