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nguage Variation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Utilizing Topic Modeling in Counseling Proc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하선 조남옥 이윤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801~8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과정에서 이루어진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상담 내용을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주요 주제를 추출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변화를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한 상담사가 주 1회 50분 동안 총 5회에 걸쳐 내담자 A와 내담자 B에게 개별상담을 진행한 내용과 추수상담 1회를 포함한 상담 축어록을 전사한 후, 정제과정을 거친 뒤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결과 빈도 분석 결과, 내담자 A의 상담에서 주요 핵심어는 ‘생각’, ‘사람’, ‘마음’ 등이 나타났으며, 내담자 B의 상담에서는 ‘엄마’, ‘아이’, ‘이야기’ 등이 주로 등장하였다. LDA토픽모델링 결과, 내담자 A의 주요 토픽은 ‘생각과 기분’, ‘자신의 생활’ 등으로, 상담자의 토픽은 ‘남편과 마음’, ‘사람의 마음’ 등 5개씩 추출되었다. 내담자 B의 주요 토픽은 ‘교수 생각’, ‘칭찬 이야기’ 등으로, 상담자의 토픽은 ‘걱정된 이야기’, ‘엄마 공부’ 등 8개씩 추출되었다. 또한, DTM토픽모델링 결과, 내담자 A와 B 모두 상담 초기와 종결 회기에서의 토픽 출현이 높았으며, 상담과정 중에는 낮았다. 반면, 상담자는 상담 초기부터 종결 회기까지 토픽의 출현이 높았으며, 추수상담에서는 내담자와 상담자 모두 토픽 출현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상담과정 중 핵심 주제어와 토픽을 추출하여 내담자의 관심사와 주제를 파악하고 토픽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상담자와 내담자 간 상호작용에서 특정 주제와 언어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주요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 개인상담을 진행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상담과정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상담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토픽모델링이라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 간 언어변화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tilize counseling content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using topic modeling, extract key themes, and investigate language changes over time.
Methods A single counselor conducted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with Client A and Client B, each lasting 50 minutes, once a week for a total of 5 sessions. The transcripts of these counseling sessions, including a follow-up session, underwent refinement before undergoing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Results In the frequency analysis, key keywords in Client A's counseling sessions included ‘thoughts,’ ‘people,’ and ‘emotions,’ while in Client B's counseling sessions, ‘mother,’ ‘child,’ and ‘stories’ predominated. LDA topic modeling revealed that Client A's major topics were ‘thoughts and emotions’ and ‘personal life,’ while topics such as ‘husband and emotions’ and ‘people's emotions’ were extracted for the counselor, each occurring 5 times. For Client B, primary topics included ‘professor's thoughts’ and ‘complimentary stories,’ while for the counselor, top-ics like ‘worrisome stories’ and ‘mother's studies’ were extracted, each occurring 8 times. Additionally, DTM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both Client A and B had higher topic appearances at the beginning and end stages of counseling, with lower appearance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In contrast, the counselor had a high topic appearanc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ile in the follow-up session, both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showed lower topic appearance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extracting core keywords and topic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of client interests and themes, as well as the analysis of topic changes over time. This in-formation can assist counselors in focusing on the client's primary concerns,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ounseling process. Furthermor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topic modeling in analyzing the content of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language changes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