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motional goal-setting in imaginative expression through art activitie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ions of imaginary compan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시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673~6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 초등학생의 정서적 목표 설정을 밝히고, 초등미술의 상상 표현에서 정서적 목표 설정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논의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생 103명(남 53명, 여 50명)이 참여하였고, 학년 구성은 2학년 48명(46.6%), 6학년 55명(53.4%)이었다. 연구 자료는 초등학생이 자신의 상상 친구를 표현한 그림 및 질문지이며 분석 방법은 본 연구에서 마련한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분석 준거에 의한 내용 분석이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및 교차 분석도 하였다.
결과 미술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상상 친구 표현에 드러난 정서적 목표 설정은 정서 유지, 정서 개선, 자기 보호 및 자유 환상 등 4가지다. 초등학생은 상상 표현에서 주로 정서 유지 및 정서 개선을 정서적 목표로 설정하였고, 자기 보호 및 자유 환상을 설정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2학년은 상상 친구 표현에서 정서 유지를 정서적 목표로 설정하는 경우가 현저히 많았고, 6학년은 정서 유지와 더불어 정서 개선을 목표로 설정하는 경우도 많았다.
결론 본 연구는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 초등학생이 설정하는 정서적 목표를 정교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설정이 정서의 시각화, 정서 이해, 정서 조절 등에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e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goal-setting through imaginative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motional goal-setting in el-ementary art.
Methods A total of 1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53 males, 5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rising 48 students (46.6%) from the 2nd grade and 55 students (53.4%) from the 6th grade. The research data consisted of drawings and questionnaires in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ed their imaginary companions.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emotional goal analysis criteria in imaginary expressions through art activities established for this study. T-test and cross-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by grade.
Results Four emotional goal settings were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ions of imaginary companions through art activities: emotion maintenance, emotion repair, self-protection, and free fantas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inly set emotion maintenance and emotion repair as emotional goals in their imag-inary expressions and rarely set self-protection and free fantasy. In expressing imaginary companions, 2nd grad-ers focused on emotion maintenance as an emotional goal, while 6th graders emphasized emotion repair in addi-tion to emotion maintenance.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 emotional goal-setting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magi-native expressions through art activities and suggests that emotional goal-setting in imaginative expressions has educational effects such as visualization of emotio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