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occer coaches' introductory coaching exper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성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659~6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 코칭 활동을 하는 축구 코치가 코치로 입문하게 되는 과정과 그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축구 코치의 인식 변화, 주변 환경 요인, 사회적 요인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코치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명의 축구 코치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했다. 연구 참여자는 축구 선수 경력 10년 이상, 축구 코치 경력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코치로 선정했다.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고,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중심으로 개방 코딩과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개방 코딩을 통해 정보들을 구분함으로써 연구하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범주들을 형성했다. 이후 범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위 범주들을 연결하는 축 코딩을 진행했다.
결과 연구 결과 ‘직업으로서 코치 선택 동기’, ‘선수 경험의 영향’, ‘이상과 현실의 괴리’ 총 3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했다. ‘직업으로서 지도자 선택 동기’의 하위 범주는 ‘지도 활동에 대한 관심’, ‘후진 양성을 위한 마음’, ‘상위 리그 진출에 대한 도전’, ‘은사님의 권유’로 나타났다. ‘선수 경험의 영향’의 하위 범주는 ‘경험적 지식의 활용’, ‘선수 경험의 자부심’, ‘편협한 진로 의식’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의 하위 범주는 ‘지도 방법의 시행착오’, ‘형식적 코치교육’, ‘경쟁의 본질적 문제’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운동부 코치의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자질을 제시했다. 단순히 운동 기능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코치 입문 과정과 스포츠 코치의 고용 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and experiences of soccer coaches who engage in sports coaching activities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athletes becoming a c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coach education by analyzing in-depth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occer coaches, 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eight soccer coach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coach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s as a soccer player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s as a soccer c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open coding and paradigm models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s. By classifying information through open coding, categories of information about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were formed. Afterwards, axial coding was performed to connect subcategorie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ategor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three top categories were derived: ‘Motivation for choosing a coach as a career’, ‘Influence of athlete experiences’, and ‘A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sub-categories of ‘motiva-tion to be a leader as a career’ were ‘an interest in coaching activities’, ‘mind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a challenge to advance to a higher league’, and ‘recommendation from a teacher’. The subcategories of ‘influence of athlete experiences’ were ‘use of experiential knowledge’, ‘pride of athlete experiences’, and ‘narrow career consciousness’. The subcategories of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were ‘trial and error in coaching meth-ods’, ‘formal coach education’, and ‘essential problems of competi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ole and qualifications of athletics coaches as educators for stu-dent athletes were presented. Structural problems were pointed out in the coaching introductory process and the employment system of sports coaches to perform their roles simply as conveyors of exercise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