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에 따른 수학 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이용수 194

영문명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st items according to introducing the computer bas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기돈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641~65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년 새롭게 도입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기존 교육 현장의 지필평가 문항보다 더 양호한 수학 평가 문항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을 실제로 드러내고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 교육 현장의 지필평가 문항들을 수집하고, 그중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항 유형을 활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제한된 양호도를 갖게 되었던 문항들의 사례와 이를 구현 가능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을 사용하여 변형한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확장선택형, 자료연결형, 순서배열형 등의 문항 유형별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구현 가능한 수학 문항이 타당도를 높이고 추측도를 낮추는 등 기존 지필평가 문항의 양호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문항 수준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교육 현상 상황의 측면에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참여할 필요성과 장기적으로 학교 현장의 수학 지필평가가 컴퓨터 기반 평가로 전환되는 것의 장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newly introduced computer bas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22 can produce mathematics test ite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thematics pa-per-and-pencil test items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and discusses the resul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To this end, we collected paper-and-pencil test items from the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al field. Among them, we chose examples of items with limited quality because they could not use item types of the com-puter bas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converted them using item types of the computer bas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at could be implemented. After that, we compared the chosen exam-ples with the converted item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at the item level that mathematics test item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computer bas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can improve the quality of existing paper-and-pen-cil test items in several specific aspects, such as increasing validity and reducing guesswork.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to participate i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long-term advantages of converting school mathematics paper-and-pencil tests to computer based tests in terms of actual educational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별 지필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돈. (2023).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에 따른 수학 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0), 641-657

MLA

이기돈.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에 따른 수학 평가 문항의 양호도 개선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2023): 641-65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