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세은 양곤성 하요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367~3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 만족도, 전문성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충청남도와 대전시, 세종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유아교사 306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 만족도, 전문성 인식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자아탄력성과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자아탄력성, 전문성 인식 간의 정적 관련성을 밝혔으며, 전문성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도입하여 교사의 높은 자아탄력성이 교직 전문성의 긍정적 인식을 도움으로서 직무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교사 개인의 자아탄력성을 기르고, 자신의 전문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돕는 다양한 교사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from 30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aejeon, Sejong City,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each scale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and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and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or intervention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