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영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237~24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자료수집을 실시하였고 최종 201명을 자료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5점 만점에 회복탄력성 3.60점, 자기효능감 3.75점이었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05점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은 학년, 종교, 건강 상태, 간호학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연령, 학년, 종교, 건강 상태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들 간의 상관관계는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은 양의 상관관계(r=.826, p=.000),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r=-458, p=.000),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r=-414, p=.000)를 보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은 보통 수준 이상이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스트레스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학과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resili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in D City, After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then collected data from the subjects who agreed to the study, and finally analyzed the data of 201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using the SPSS/WIN 22.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Out of 5 points, resilience was 3.60 points, self-efficacy was 3.75 points,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3.05 points. Resilience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rade, religion,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s,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different in age, grade, religion, and health status.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positive for resilience and self-efficacy (r=.826, p=.000), negative for resilience and clinical practice (r=-458, p=.000), and negative for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r=-414, p=.000).
Conclusions The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ere above normal, and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moderate,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ili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self-efficacy, the lower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the department needs to develop and apply curricula and comparative programs that improve the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