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xploring barrier factors to implementation of the 2019 National Nuri-Curriculum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169~1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직접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교육과정 실행의 저해요인을 어떠한 개념과 구조로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Kane과 Trochim(2007)의 개념도 연구 6단계인 개념도 준비, 아이디어 생성, 진술문 구조화, 개념도 분석, 개념도 해석, 활용의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개정 누리과정 실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총 40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으며, ‘물적/재정적 요인과 인적 요인’, ‘정책/제도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으로 이루어진 2차원에서 ‘교사 인식’, ‘부모 관계’, ‘교직 문화’, ‘기관 자원’, ‘교사 지원’의 5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별 중요도에서는 ‘교사 지원’이, 진술문별 중요도에서는 ‘놀이중심교육과정을 실행하기에 높은 유아 대 교사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교사들의 시선을 통해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저해요인과 그 의미를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실행 지원의 방향성 모색에 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structure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directly implementing the 2019 national Nuri-curriculum, perceive as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0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Kane and Trochim(2007) 's six steps of concept mapping study: preparing for concept mapping, generation the ideas, structuring the statement, concept mapping analysis, interpreting, and utilization.
Results A total of 40 statements were derived as factors that hind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five clusters of ‘teacher perception’, ‘parental relationship’, ‘teaching culture’, ‘institutional resources’, and ‘teacher support’ were derived from the two dimensions of ‘material/financial factors and human factors’ and ‘policy/institutional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In terms of importance by cluster, “teacher support” was the highest, and in terms of importance by statement, “high child-teacher ratio to implement a play-centered curricu-lum” was the highest.
Conclusions By interpreting the obstacles and meaning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teach-ers' perspectiv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uppor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