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in small-scale integrated schools in rural area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용성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105~1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로 운영되는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3개 사례 분석을 통해 이들 학교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이나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는 3개의 중학교 교원(총 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에 초점화하여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는 데 어려운 점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면담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또는 문제점으로 ‘일부 방과후 활동에 제한된 학교급 간 연계 운영의 한계’, ‘학교급 간 인적·물적 자원의 차이 극복의 어려움’ 등으로 통합운영학교가 매우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학교급 간 연계를 위한 학교교육과정연계협의회 구성 및 운영’, ‘겸임교원 운영의 내실화’, ‘통합운영학교 경영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예산 편성 및 집행의 유연화’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러한 개선 방안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시행해야 할 정책으로 ‘교원의 겸임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통합운영학교 관련 규정 개선’, ‘통합운영학교의 학교회계 단일화 설치 및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ree cases of small middle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operated as integrated schools and examines how the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re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issues or difficulties exist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teachers working at integrated middle schools, and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difficultie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ways to improve them were suggest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ssues or problem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there is a limit to linking and implementing between school levels when conduct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overcoming the difference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etween school level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tegrated schools were operated in a very formal way. In an effort to improve this problem, four things were suggested. That is,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school curriculum linkage coun-cil for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enhancing the operation of adjunct teacher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management manuals for integrated schools’, and ‘flexibility of budgeting and execu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ies to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s related to integrated schools need to be improved so that teachers can hold con-current positions. Second, the accounting of integrated schools has to be unified and operated.
목차
Ⅰ. 서론
Ⅱ.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사례 분석 및 시사점
Ⅲ.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및 개선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