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doctoral course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actice of adult learners aged 50 and old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상숙 이보람 노성향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0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학습자의 박사과정 학습 경험과 학습 동기, 학습 실천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재 50세 이상의 박사과정 성인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주제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 3인은 코딩, 범주화, 주제도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나누고, 주제를 정교화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검토하고 의견을 조율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박사과정 학습 경험’, ‘학습 동기’, ‘학습 실천의 의미’라는 3개의 대주제 하에 ‘늦깍이 성인학습의 어려움’, ‘커리어(career)에 대한 안정감’, ‘내적 성장에 대한 욕구 충족’, ‘외적인 성장과 발전’, ‘변화의 필요성 인식’, ‘꿈에 대한 새로운 도전’, ‘미래에 대한 준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학습’, ‘선한 영향력의 실천을 위한 학습’, ‘자아실현을 위한 학습’, ‘앞으로도 계속될 학습’이라는 11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급격하게 진입하는 고령화사회에서 50세 전환기에 박사과정을 선택하는 성인학습자들은 일, 가정, 학습이라는 다중적 역할의 어려움을 느끼면서도, 학습과정을 통해 사회적 역할 욕구에 대한 안정감과 만족감을 더욱 느끼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박사과정 학습 실천은 변화하는 사회적 경쟁에서 개인적·사회적 성장 욕구를 해소하려는 동기가 가장 강하였다. 즉, 이들은 늦깎이 배움을 통해 자신의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함양하여 미래의 삶을 계획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고 사회적으로 공헌하고자 하는 의미를 함께 가진다는 것을 밝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doctoral program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actice of adult learners aged 50 and older.
Method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doctoral students aged 50 or older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the participation. For thematic analysi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three researchers selected meaningful topics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categorization, and classification through continuous elaboration and revision to derive themes, sharing opinions, and coordinat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der the three major themes of ‘doctoral course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meaning of learning Practic’, ‘difficulty of late adult learning’, ‘sense of stability in career’, ‘desire for internal growth' fulfillment’, ‘external growth and development’,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hange’, ‘new challenges for dreams’, ‘preparation for the future’, ‘lear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learning to prac-tice good influence’, ‘learning for self-realization’, and ‘learning to continue’ were derived.
Conclusions In a rapidly aging society, adult learners who choose doctoral programs at the turn of the age of 50 can feel the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ir social role need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even though they ex-perience the difficulties of multiple roles of work, family, and learning. Their doctoral course learning practice was most motivated to achieve their personal and social growth in the changing societal context. In other words, they revealed that they not only plan their future lives by cultivating expertise in their field through late learning, but also have the meaning of leading a community life and contributing to society as members of our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