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ing the Potential Utilization Value of Peony Byproducts: Comparative Evaluation of Bioactivities in Peony Seed Oil and Cake Extract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이하민 박경태 허희진 이준수 김광엽 조주성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6권 제5호, 446~45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종자 오일과유박의 생리활성의 비교를 통해 작약 종자 유박 활용에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작약 종자 유박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22-45%로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및플라보노이드와 radical소거능은 오일보다 유박 추출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작약 유박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양성대조군에비해 우수하였으며, 이는 48시간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LPS로유도된 염증 반응은 유박 추출물 처리시 현저하게 감소하여 작약 종자 유박의 항염증 활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약종자 오일 뿐만 아니라 유박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항균 및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어 바이오헬스 소재로서 작약 종자 유박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otential use of Paeonia lactiflora Pall. seed cake (PSC). The extraction yield of the PSC extract ranged from 22% to 45%, depending on the extraction solvent used. The PSC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compared to the P. lactiflora seed oil (PSO) extrac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PSC extract was superior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and remained effective for up to 48 hours. Furthermore, when the PSC extract was applied, i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demonstrat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SC.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 bioactivity not only in PSO, but also in the PSC extract,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PSC as a bio-health ingredient.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