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Corrosion Damage Level and Corrosion Current in Acceleration Corrosion Testing under Corrosive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허창재 하민균 박찬현 안진희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5호, 115~12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구조물의 노출환경에 따른 상대적 부식열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장의 내구성 평가에 사용되는 ASTM G85-19 실험방법을 이용한 부식촉진실험을 진행하였다. ASTM G85-19 실험방법을 이용한 부식촉진 실험에서 강구조물에 대한 상대적 노출환경 변화 조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실험에 적용되는 염분농도와 황산암모늄 유무에 따른 환경조건별 촉진 시험편의 중량변화를 이용하여 평균부식두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부식촉진 실험조건별 부식환경에 따른 부식전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ACM 센서를 이용하여 부식촉진실험 조건별 부식전류량을 측정하였다. 부식촉진실험 결과 염분량과 황산암모늄과 같은 촉진실험 조건변화에 따라 평균부식두께는 1.1~2.7배, 부식전류량은 1.2~5.7배까지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acceleration corrosion test based on ASTM G85-19 standards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both steel and paint-coating. The objective was to assess the relative corrosive deterioration based on variations in the corrosive environment. In the ASTM G85-19 test method, we systematically altered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and (NH4)2SO4 to simulate different corrosiv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ean corrosion depth of the steel specimens was determined by quantifying weight throughout the acceleration cycle. Additionally, we measured the corrosion current output using the ACM sensor to validate the corrosive environment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acceleration cycle scenarios.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the acceleration corrosion test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The mean corrosion depth exhibited a range of 1.1 to 2.7-fold change, while the corrosion current showed fluctuations ranging from 1.2 to 5.7 times, contingent upon the conditions of the acceleration test, including the quantities of chloride and (NH4)2SO4 present.
목차
1. 서 론
2. 부식촉진 실험
3. 부식촉진실험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