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and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on the Guidance Efficacy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한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4호, 23~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2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지도효능감에 대해 개별적 변인과 사회관계적변인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양 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7.0(win)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적 변인에서 연령과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생활지도효능감은 높으며 생활지도 연수경험 및 자녀의 양육경험이 있는 교사가 생활지도효능감이 더 높았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관계적 변인에서 동료교사와의 친밀감, 관리자의 지지, 부모의 지지가 더 높게 인식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생활지도효능감이 높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생활지도효능감에 대한 개별적 변인 및 사회관계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지지가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교사의 연령과 교육경력, 동료교사와의 친밀감, 관리자의 지지, 생활지도 연수경험, 자녀의 양육경험의 순서로 영향력이 있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적 변인과 사회관계적 변인의 특성 및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relationship variables on special class teachers’ guidance efficacy and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both variable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e-survey was distributed to 230 special class teachers in nationalwide. SPSS 27.0(win) was utilized to data analysis for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individual variab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higher the age and educational carrier, the higher the guidance efficacy, and the higher guidance efficacy with guidance training course experience and child rearing experience. Second, in the social-relationship variab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group that recognizes better relations with colleagues, support from principal, and support from parents has higher guidance efficacy than the lower group.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social-relationship variables on the special class teachers’ guidance efficacy, parental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order of teacher age, educational experience, relations with colleagues, support from the principal, support from parents, experience of guidance training course, and child rearing experi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influe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individual and social-relationship variables in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