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 관계에서 학습불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전략, 학습불안에 관해 그간 보편적으로 활용되어 온 표준화된 척도로 설문지 제작 후 설문조사를 통해 125명의 연구 대상자를 표집해 조절효과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을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상위인지전략, 사회적 전략으로 구분해 자기주도학습능력과의 상관성을 실증한 결과, 모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변수 간의 모든 관계에서 학습불안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졌고, 그 조절효과의 성격은 강화효과로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의 실증 결과를 토대로 논의 수행 후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학습전략 관련 지원 체계가 구조화되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학습 시 학습불안 조절이 학습전략 구축에 우선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증진을 위해 학습불안을 학습 활동에 긍정적으로 활용하려는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reated using a standardized scale that has been commonly used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anxiety, and then 125 research subjects were sampl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o analyze the moderation effect analysis.
Results: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were classified into memory strategy, cognitive strategy, reward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and social strategy, and as a result of demonstrating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l of the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in al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learning anxiety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nd the nature of the moderating effect was found to be a reinforcing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d support system related to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when learning Korean, controlling learning anxiety needs to be prioritized in establishing a learning strategy.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to positively utilize learning anxiety in learning activities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