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the Korean Version of a Semantic Feature Database for Semantic Feature Analysis Treat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수진 김주은 성지은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3, 505~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름대기 결함은 실어증 환자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로, 의미 자질(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중재는 대표적인 이름대기 중재법이다. 본 연구는 영어권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SFA 중재에 사용되는 중재 목록 및 의미 자질의 한국 데이터베이스를구축하여 공유하고자 하였다. 방법: 명사와 동사 단어 목록 및 의미 자질을 수집하여 언어적 특성 및 한국 문화를 반영해 수정 및 보완하였다. 단어와 의미 자질이 연관성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2번의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1차 타당도 검증은 청년층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참여자 간 일치율이 80% 미만인 의미 자질은 연구자에 의해 수정되었다. 2차 타당도 검증은 언어재활사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명사 213개, 동사 159개 목록이 완성되었으며 각 단어 당 24개의 의미 자질을 구성하였다. 총 명사 의미 자질 5,112개, 동사 의미 자질 3,816개가 구성되었다. 1차 타당도 검증에서 의미 자질의 일치율은 명사 의미 자질 21개, 동사 의미 자질 167개를 제외하고 80% 이상 일치율을 보였다. 2차 타당도 검증에서 명사 의미 자질 21개, 동사 의미 자질 161개에서 80% 이상의 일치율을 보였다. 6개의 동사 의미 자질은 80% 미만의 일치율을 보여 연구자에 의해 수정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SFA 중재를 위한 명사 및 동사 이름대기 의미 자질의 한국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는 이름대기 결함이 있는 실어증 환자들의 중재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naming deficit is a common linguistic issue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is a widely used approach to improving the naming 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apha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semantic feature database used in SFA treatment. Methods: The item lists and semantic features of nouns and verbs were modified to reflec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To assess the semantic relatedness of the items and semantic features, the researchers conducted two validation studies. In the first study, forty young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 semantic features were revised if the agreement rate was less than 80%. In the second study, sixtee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participated. Results: The final list included 213 nouns and 159 verbs, with 24 semantic features for each word. The researchers composed 5,112 noun semantic features and 3,816 verb semantic features. In the first validation, the matching rate of semantic features was over 80%, except for 21 noun semantic features and 167 verb semantic features. In the second validation, 21 noun semantic features and 161 verb semantic features showed a matching rate of over 80%. The researchers modified six verb semantic features with a matching rate of less than 80%. Conclusion: This study successfully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the semantic feature database for noun and verb naming treatment. This database provides a valuable resource for improving the naming 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aphasia.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