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Chinese ‘Syntactic Compound Word’ and Functional Transition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김정필(金正必)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4輯, 2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중국어에서는 형태변화를 나타내는 표지의 결핍으로 두 개 이상의 품사성을 지닌 많은 ‘겸류사’가 많다. 사실 ‘겸류사’의 탄생은 구문에서 품사의 다기능이 지닌 경계의 설정에 있었지만, 오히려 ‘양사가 형용사를 수식’하거나 ‘부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비정상적 어법구조를 형성하였다. 본문은 어법화의 각도에서 개사와 조사의 어법화 과정을 ‘기능전환’과 ‘품사전성’이라는 두 가지 각도에서 대비하여 살펴보았고, 본래 품사가 지닌 전형적 ‘범주속성’의 ‘임시전환(游移)’현상에 근거하여 ‘기능전환’에 따른 ‘활용’이라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았다. 아울러 “양사가 형용사를 수식한다”는 주장에 대해 기존 ‘명물화(名物化)’ 관점에서 정도성 양범주의 공간화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또 “부사가 명사를 수식한다”는 공간 양범주의 ‘형질화(形質化)’라는 측면에서 양범주의 정도성을 통해 명사의 윤곽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았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for individual vocabularies in a language should be analyzed based on a consistent theoretical system and certain standard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of sentence components may appear in different standards and aspec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In Chinese, there are many ‘syntactic compound word’ with two or more parts of speech due to the lack of markers indicating morphological changes. In fact, the birth of ‘syntactic compound word’ was in the setting of the boundary of multifunctional parts of speech in syntax, but rather formed an abnormal grammatical structure in which ‘both words modify adjectives’ or ‘adverbs modify nouns’. This text compares the process of grammarization of anagrams and postpositions from the angle of grammarization from two angles, ‘functional transition’ and ‘transformation of parts of speech’. Based on the ‘phenomenon’, I approached it in the way of ‘utilization’ according to ‘functional conversion’. In addition, the argument that ‘both words modify adjectives’ was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ization of ‘quantity categories’ in ‘Degreed’ from the existing ‘specialization’ perspective, and also the spatialization of quantity categories ‘adverbs modifying nouns’. In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I approached by deconstructing the outline of a noun through the degree of ‘quantity category’.
목차
1. 서언
2. 품사의 기능전환과 품사전성
3. 수식어의 의미제약과 기능전환
4.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