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ecked-tone Finals in Zhangshu(Qingjiang) Dialect : On the Focus of Bianzizhaiyao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박규정(朴奎貞)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4輯,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辨字摘要』는 18세기 중엽에 江西 清江縣에서 편찬된 운서의 성격을 지닌 습자서로, 글자를 우선 平上去入에 따라 분류한 후에 音韻에 따라 ‘字組’로 모아 그 의미 및 용례를 간단히 설명하였다. 『辨字摘要』에서 개별 글자가 각 ‘字組’로 분류된 양상을 통하여, 당시 樟樹(清江)방언 입성 운미의 병합 조건을 알 수 있다. 첫째로 */-p/는 */-t/로 병합되었으며, 둘째로 전위모음 뒤에 있는 */-k/는 /-t/로 병합되었으나 나머지 */-k/는 독립된 음가를 유지한다. 다만, 한자의 특성 및 관련 자료의 부재로 인하여 운미의 정확한 음가를 파악할 수 없으나, 贛방언 내의 제방언을 통하여 다섯 가지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t], *[-k]), (*[-t], *[-ʔ]), (*[-l], *[-k]), (*[-l], *[-ʔ]), (*[-ʔ], *[-k]). 이러한 음가의 차이는 제약조건 Ident(PlaceF), *-p]σ, *-t]σ, *-k]σ, *[-oral]]σ, Ident(MannerF), Ident I→O(Nasal), *[+obs]]σ, *[+nasal]]σ, *[+lateral]]σ, MAX(segment), No-Coda, *[-back][-Cons]&k 사이의 등급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영문 초록
Bianzizhaiyao is the vocabulary book which has been written at Qingjiang County Jiangxi Province in the mid-18th century. This book also has the nature of rhyme dictionary, for classifying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four tones and grouping 'character sets' in accordance with pronunciation and rhyme.
From the aspects of which characters have been divided into each sets, we can make deduce the terms of merging checked-tone finals in Zhangshu(Qingjiang) dialect at that time. First, */-p/ has merged into */-t/. Second, */-k/ behind front vowels amalgamated with */-t/, but */-k/ following back vowel kept independent phonetic value. The accurate phonetic value of finals cannot be figured out, for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character and the absence of related data. However, we can find out five possibilities throughout the regional dialects in Gan dialect: (*[-t], *[-k]), (*[-t], *[-ʔ]), (*[-l], *[-k]), (*[-l], *[-ʔ]), (*[-ʔ], *[-k]).
The difference of phonetic value is determined by the hierarchy among the constraints, which are Ident(PlaceF), *-p]σ, *-t]σ, *-k]σ, *[-oral]]σ, Ident(MannerF), Ident I→O(Nasal), *[+obs]]σ, *[+nasal]]σ, *[+lateral]]σ, MAX(segment), No-Coda, *[-back][-Cons]&k.
목차
1. 서론
2. 樟樹(清江)방언 입성 운미의 병합조건 및 음가
3. 樟樹(清江)방언 입성 운미 병합에 대한 최적성이론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