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목적: 갑상샘눈병증과 연관된 사시의 자연 경과 중에 사시각의 안정성과 갑상샘자극호르몬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thyroid-stimulating hormone receptor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의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눈병증과 연관된 사시 환자에서 TBII 측정 후 수술 없이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TBII 수치와 사시각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BII가 측정된 날로부터 6개월을 관찰 기간으로 정하여해당하는 TBII 수치와 관찰 기간을 합쳐서 관찰 단위로 설정하였다. 총 55개의 관찰 단위가 수집되었고 각각의 관찰 단위별로 TBII의농도와 사시각 변화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 나이, 갑상선호르몬 농도는 사시각 변화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TBII 수치와 사시각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73, p<0.001). 수평 및 수직 사시각 변화량과 총 사시각 모두 TBII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관찰 단위에서정상인 관찰 단위에 비하여 의미 있게 큰 변화를 보였다(p=0.029, p=0.032, p=0.009).
결론: TBII는 갑상샘눈병증과 연관된 사시 환자에서 사시의 안정성과 연관성을 가지며 향후 6개월간의 사시각의 안정성을 예측하는데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yrotropin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 and deviation angle stability in strabismus-associated thyroid eye disease.
Methods: A total of 25 strabismus-associated thyroid eye disease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 6 months without surgery were enroll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BII levels and changes in the deviation angle, a test period of 6 months from the date of TBII measurement was established and 55 test units of the corresponding TBII levels were obtained.
Results: The deviation angl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BII levels (r = 0.473, p < 0.001), but did not correlate with sex, age, and thyroid hormone levels. Changes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total deviation angl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high-TBII test units compared to the normal-TBII test units (p = 0.029, = 0.032, and = 0.009, respectively).
Conclusions: TBII levels were related to deviation angle stability in strabismus-associated thyroid eye disease. TBII may be a useful indicator for deviation angle stability in these patients over a period of 6 month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