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mathematics learn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s and mathematics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F middle school in Anhui Province,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박 조진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825~8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국 중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귀인양식과 수학 불안 사이의 매개 효과에 대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방법 중국 안후이성(安徽省)의 F중학교 학생 822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 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귀인양식과 수학 불안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수학 학습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SPSS Process Macro 3.4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중국 중학생의 귀인양식, 수학 자기효능감, 수학 불안이라는 세 가지 변수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수학 학습 자기효능감은 성공 귀인양식과 수학 불안 사이를 완전히 매개하였고, 수학 학습 자기효능감은 실패 귀인양식과 수학 불안 사이를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불안에 대한 상담 개입에서 귀인양식, 수학 학습 자기효능감이 주요 심리적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mathematics learning between attributional style and mathematics anxiety among Chines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822 students from F middle school in Anhui Provnice of China were selected and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7.0,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mathematics learning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 and mathematics anxiety was tested using SPSS Process Macro 3.4.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attributional styl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nxiety among Chines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attributions and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attributions and mathematics anxiety.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attributional styles and mathematics learning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s key psychological variables in counselling interventions for mathematics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